250x250
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Tags
- React
- 알고리즘
- 국비지원코딩
- 자바개발자
- 개발자
- 데이터베이스
- 백엔드개발자
- 자바
- 국비지원
- 리액트
- 소셜로그인구현
- 미라클모닝
- 코드업
- db
- 자바의정석
- 프로그래머
- 프로그래밍
- Codeup
- 운영체제
- 혼공컴운
- 프로그래머스
- 백엔드
- 스프링부트
- 프로세스
- Java
- 개발자일기
- 자바알고리즘
- SpringBoot
- 코딩
- 자바스크립트
Archives
- Today
- Total
초코딩(chocoding)
프로세스와 스레드에 대하여 본문
728x90
프로세스란?
=> 운영체제로부터 자원을 할당받은 작업의 단위
라고 설명하면 이해 1도 안되고 뭔소린가 싶다...
그래서 내가 이해한 바로는
우리가 프로그램 다운로드 받으면 그거 실행하기 전에는
정적인 프로그램(그냥 코드 덩어리)인건데!!
그걸 실행시킨다???
그래서 프로그램이 돌아가고 있는 상태다??
그것을 바로 !!
=> 프로세스 라고 하는 것이다.
(이해완??)
과거에는 프로그램을 실행할 때 프로세스 하나만을 사용했었다.
기술이 발전되고 프로그램이 복잡해지면서 프로세스 하나만으로 프로그램을 실행하려니
너무 한계가 있어서
스레드!! 를 사용하여 프로세스의 한계를 해결하기로 했다!
스레드란?
=> 프로세스가 할당받은 자원을 이용하는 실행 흐름의 단위
또!! 어렵게 설명하니 이해가 안되쥬??
내가 이해한 스레드는
하나의 프로세스 안에서 여러 개의 쓰레드가 동시에 작동
즉! 내가 카카오톡을 컴퓨터에 다운 받으면서 기다릴 동안 쿠팡으로 강아지 간식을 주문시키고
블로그에 글을 쓰는 것을 말한다
스레드 수가 많을 수록 프로그램 속도도 동시에 처리하는 작업이 많아져 성능이 올라간다.
진짜 아래 블로그가 기깔나게 설명해놨다
아래 블로그가 좀 길어도
마음 차분히 정독해보시길 적극 추천함
👩💻 완전히 정복하는 프로세스 vs 스레드 개념
한눈에 이해하는 프로세스 & 스레드 개념 전공 지식 없이 컴퓨터의 프로그램을 이용하는데는 문제 없어 왔지만 소프트웨어를 개발하는 사람으로서 컴퓨터 실행 내부 요소를 따져보게 될때, 아
inpa.tistory.com
728x90
'[혼공컴운] 혼자 공부하는 컴퓨터 구조와 운영체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교착 상태(Dead Lock) / 공유 자원(Shared Resource) / 임계 영역 (Critical Section) / 임계 영역을 해결하기 위한 방법 (0) | 2024.04.04 |
---|---|
CPU의 스케줄링이란? / 선점형 스케줄링과 비선점형 스케줄링 (0) | 2024.04.04 |
[혼공컴운] 10-2 / 프로세스 상태와 계층 구조 (0) | 2023.08.04 |
[혼공컴운] 10-1 / 프로세스 개요 (0) | 2023.07.31 |
[혼공컴운] 9-2 / 운영체제의 큰 그림 (0) | 2023.07.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