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코딩(chocoding)

프로세스와 스레드에 대하여 본문

[혼공컴운] 혼자 공부하는 컴퓨터 구조와 운영체제

프로세스와 스레드에 대하여

sweetychocoding 2024. 3. 28. 14:48
728x90

프로세스란?

=> 운영체제로부터 자원을 할당받은 작업의 단위

 

 

라고 설명하면 이해 1도 안되고 뭔소린가 싶다...

 

그래서 내가 이해한 바로는

우리가 프로그램 다운로드 받으면 그거 실행하기 전에는

정적인 프로그램(그냥 코드 덩어리)인건데!!

 

그걸 실행시킨다???

그래서 프로그램이 돌아가고 있는 상태다??

그것을 바로 !!

=> 프로세스 라고 하는 것이다.

(이해완??)

 

 

과거에는 프로그램을 실행할 때 프로세스 하나만을 사용했었다.

기술이 발전되고 프로그램이 복잡해지면서 프로세스 하나만으로  프로그램을 실행하려니

너무 한계가 있어서

 

스레드!! 를 사용하여 프로세스의 한계를 해결하기로 했다!

 

스레드란? 

=> 프로세스가 할당받은 자원을 이용하는 실행 흐름의 단위

 

또!! 어렵게 설명하니 이해가 안되쥬??

 

내가 이해한 스레드는

하나의 프로세스 안에서 여러 개의 쓰레드가 동시에 작동

즉! 내가 카카오톡을 컴퓨터에 다운 받으면서 기다릴 동안 쿠팡으로 강아지 간식을 주문시키고

블로그에 글을 쓰는 것을 말한다

 

스레드 수가 많을 수록 프로그램 속도도 동시에 처리하는 작업이 많아져 성능이 올라간다.

 

 

 

 

진짜 아래 블로그가 기깔나게 설명해놨다

아래 블로그가 좀 길어도

마음 차분히 정독해보시길 적극 추천함

 

 

https://inpa.tistory.com/entry/%F0%9F%91%A9%E2%80%8D%F0%9F%92%BB-%ED%94%84%EB%A1%9C%EC%84%B8%EC%8A%A4-%E2%9A%94%EF%B8%8F-%EC%93%B0%EB%A0%88%EB%93%9C-%EC%B0%A8%EC%9D%B4

 

👩‍💻 ‍완전히 정복하는 프로세스 vs 스레드 개념

한눈에 이해하는 프로세스 & 스레드 개념 전공 지식 없이 컴퓨터의 프로그램을 이용하는데는 문제 없어 왔지만 소프트웨어를 개발하는 사람으로서 컴퓨터 실행 내부 요소를 따져보게 될때, 아

inpa.tistory.com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