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백엔드개발자
- 개발자
- 자바스크립트
- 국비지원코딩
- 프로그래머스
- Codeup
- 자바개발자
- 스프링부트
- db
- 소셜로그인구현
- 개발자일기
- 코딩
- React
- 프로세스
- 미라클모닝
- Java
- 자바알고리즘
- 백엔드
- SpringBoot
- 코드업
- 프로그래밍
- 자바의정석
- 혼공컴운
- 리액트
- 국비지원
- 운영체제
- 자바
- 프로그래머
- 데이터베이스
- 알고리즘
- Today
- Total
목록db (8)
초코딩(chocoding)

백업(backup)과 아카이빙(archiving)의 차이점=> 백업과 아카이빙의 가장 큰 차이점은 보호대상이 다르다는 점이다. 백업 : A(원본)을 보호하지 않고 만일의 사태를 위해 A의 복사본을 만들어 저장해둔다아카이빙 : A(원본) 자체를 저장 관리하는 것으로 항상 최신의 상태 그대로를 보호 관리한다. 한마디로 -> 백업은 한 시점에서의 자료의 모습-> 아카이빙은 항상 현재/최신의 상태 ...참고블로그) https://blog.naver.com/redsea2407/50123652752 아카이빙 (Archiving) 이란?아카이빙 (Archiving) ① 파일 전송을 위해 백업용, 보관용 기타 다른 목적으로 한곳에 모아둔 일...blog.naver.com

데이터베이스 사용 및 운영에서 가장 중요한 두 요소-> 확장성 / 가용성 확장성 : 대용량 트래픽을 안정적으로 처리하기 위해 서버 확장가용성 : 사용자가 언제든지 안정적인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것 이 확장성과 가용성을 얻기 위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기술 중 하나가 복제이다 그럼 복제를 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1. 스케일 아웃서비스에 사용자 유입이 증가해서 부하가 늘어나게 된다면, 서버 사양을 높여서 해결할 수 있다.하지만 서버의 사양에는 한계가 존재한다. 그렇기 때문에 동일한 데이터를 가진 db 서버를 두어 쿼리 요청을 분산시키는 것이다. 이렇게 서버를 늘려 부하를 분산시키는 방법을 스케일 아웃이라고 한다. 2. 데이터 백업db 서버에서는 데이터의 손실이 언제든 발생할 수 있으므로 데이터의 주기적인..

시노님에 대해 아세요?sqld 자격증을 따긴 했는데 mysql에 익숙해서 oracle은 잘 모르는데요 회사에서 oracle 자료를 받았는데파일명이 "시노님_오라클" 이라고 되어 있어서이거 자료 제가 받기 전에 시노라는 사람이 자료 받은 줄;;;; 그니까 시노님꺼 오라클 자료... ㅋ 저같은 사람................있죠????????? 하하핫나만 멍청이는 아닐거야(아니라고 말해죠) 어쨌든 시노님이 뭐냐면여...... Synonym=> alias와 같이 이름을 줄여주는 역할=> 테이블의 이름을 설정해줌=> 보통 다른 유저의 객체 (테이블, 뷰, 프로시저, 함수, 시쿼느 등)를 참조할 때 많이 사용=> 실제로 사용하는 이유는 다른 유저의 객체를 사용할 때 유저의 이름과 객체의 실제 이름을 사용하..

아래 사이트 접속 후 https://dbdiagram.io/ dbdiagram.io - Database Relationship Diagrams Design Tool dbdiagram.io 1. create your diagram 클릭 2. import from (자신이 원하는 거 클릭) 3. 쿼리문 작성 후 submit 4. 뿅~ 간단하쥬???

Servlet이란? => 클라이언트의 요청을 처리하고, 그 결과를 반환하는 Servlet 클래스의 구현 규칙을 지킨 자바 웹 프로그래밍 기술 => 간단히 말해서, 자바를 사용하여 웹을 만들기 위해 필요한 기술로 클라이언트가 어떠한 요청을 하면(로그인을 하고 확인 버튼을 누르는 경우 등) 그에 대한 결과를 다시 전송해주어야 하는데 이러한 역할을 하는 자바 프로그램을 말함 => 서블릿은 자바로 구현된 CGI라고 말하기도 함 Servlet의 특징은? - 클라이언트의 요청에 대해 동적으로 작동하는 웹 어플리케이션 컴포넌트 - HTML을 사용하여 요청에 응답함 - Java Thread를 이용하여 동작함 - MVC 패턴에서 Controller로 이용함 - HTTP 프로토콜 서비스를 지원하는 javax.serclet..

DAO (Database Access Object) => 데이터베이스에 접근하는 객체 => 개발자가 select(), insert(), update(), delete()와 같은 연산(CRUD)들에 대한 인터페이스를 미리 정의해놓음으로써, 데이터에 대한 처리를 간단하게 할 수 있도록 도와줌 (SQL 구문 처) => DAO를 구현하지 않을 경우, 서비스(service)로직 부분과 DB에 접근하는 부분이 한개의 파일(servlet)에 작성하게 됨. : 이것은 객체지향 1원칙인 단일책임의 원칙을 위배하게 되므로 루틴을 분리하여 작성해야 함. : 하나의 클래스는 하나의 기능만을 제공하라는 의미 DTO (Data Transfer Object) => DB에 존재하는 테이블의 데이터를 저장하는 객체 => DB에 접근하..

SQL(Structured Query Language)이란?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에서 사용하기 위하여 설계된 언어 데이터 조회, 삭제 등의 데이터베이스 작업을 수행할 때 사용되는 언어 SQL의 종류 DDL (Data Description Language) 테이블 생성과 같이 데이터를 정의할 때 사용되는 SQL ⇒ create … DML (Data Manipluation Language) 데이터 삽입, 수정, 삭제와 같이 데이터를 다루기 위해 사용되는 SQL ⇒ CRUD ( insert, select, update, delete )

데이터베이스란? 빠른 탐색과 검색을 위해 조직된 데이터의 집합체 DBMS(DataBase Management System) : Oracle, Mysql, Maria… 데이터베이스를 관리하기 위한 시스템 주요기능 데이터의 추가, 조회, 변경, 삭제 ⇒ CRUD (Create, Read, Update, Delete) 데이터의 무결성(integrity) 유지 ⇒ 제약조건 트랜잭션 관리 ⇒ 데이터의 일관성 유지 데이터의 백업 및 복원 데이터 보안 최고의 DBMS는 데이터를 효과적으로 처리하며 사용자의 데이터를 정확한 기록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도와주며 데이터 구성, 조작, 검색을 제공하고 적시에 원하는 정보에 엑세스하도록 하는 것 JDBC (Java Database Connectivity) 자바의 API(Ap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