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국비지원
- Java
- 자바의정석
- 미라클모닝
- 개발자일기
- React
- Codeup
- 스프링부트
- 백엔드개발자
- 자바개발자
- 알고리즘
- 혼공컴운
- 프로그래머스
- 소셜로그인구현
- 운영체제
- 자바스크립트
- 자바
- SpringBoot
- 코드업
- 자바알고리즘
- 프로그래머
- 데이터베이스
- 프로세스
- 백엔드
- 개발자
- 프로그래밍
- 코딩
- 국비지원코딩
- 리액트
- db
- Today
- Total
목록Database (2)
초코딩(chocoding)

Servlet이란? => 클라이언트의 요청을 처리하고, 그 결과를 반환하는 Servlet 클래스의 구현 규칙을 지킨 자바 웹 프로그래밍 기술 => 간단히 말해서, 자바를 사용하여 웹을 만들기 위해 필요한 기술로 클라이언트가 어떠한 요청을 하면(로그인을 하고 확인 버튼을 누르는 경우 등) 그에 대한 결과를 다시 전송해주어야 하는데 이러한 역할을 하는 자바 프로그램을 말함 => 서블릿은 자바로 구현된 CGI라고 말하기도 함 Servlet의 특징은? - 클라이언트의 요청에 대해 동적으로 작동하는 웹 어플리케이션 컴포넌트 - HTML을 사용하여 요청에 응답함 - Java Thread를 이용하여 동작함 - MVC 패턴에서 Controller로 이용함 - HTTP 프로토콜 서비스를 지원하는 javax.serclet..

DAO (Database Access Object) => 데이터베이스에 접근하는 객체 => 개발자가 select(), insert(), update(), delete()와 같은 연산(CRUD)들에 대한 인터페이스를 미리 정의해놓음으로써, 데이터에 대한 처리를 간단하게 할 수 있도록 도와줌 (SQL 구문 처) => DAO를 구현하지 않을 경우, 서비스(service)로직 부분과 DB에 접근하는 부분이 한개의 파일(servlet)에 작성하게 됨. : 이것은 객체지향 1원칙인 단일책임의 원칙을 위배하게 되므로 루틴을 분리하여 작성해야 함. : 하나의 클래스는 하나의 기능만을 제공하라는 의미 DTO (Data Transfer Object) => DB에 존재하는 테이블의 데이터를 저장하는 객체 => DB에 접근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