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6 |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소셜로그인구현
- Codeup
- 자바스크립트
- 데이터베이스
- 혼공컴운
- 프로세스
- 국비지원
- 프로그래머
- SpringBoot
- 국비지원코딩
- 백엔드
- 자바개발자
- 코드업
- 리액트
- React
- 코딩
- 스프링부트
- 프로그래밍
- Java
- 알고리즘
- db
- 미라클모닝
- 자바
- 자바알고리즘
- 백엔드개발자
- 개발자일기
- 자바의정석
- 프로그래머스
- 개발자
- 운영체제
- Today
- Total
초코딩(chocoding)
[Programmers / java] 실패율 본문
https://school.programmers.co.kr/learn/courses/30/lessons/42889
프로그래머스
코드 중심의 개발자 채용. 스택 기반의 포지션 매칭. 프로그래머스의 개발자 맞춤형 프로필을 등록하고, 나와 기술 궁합이 잘 맞는 기업들을 매칭 받으세요.
programmers.co.kr
import java.util.*;
class Solution {
public int[] solution(int N, int[] stages) {
int[] answer = {};
Map<Integer, Integer> stagesM = new HashMap<>();
for (int i = 0; i < stages.length; i++) {
int key = stages[i];
stagesM.put(key, stagesM.getOrDefault(key, 0) + 1);
}
Map<Integer, Double> rateOfFailM = new HashMap<>();
int memberN = stages.length;
for (int key : stagesM.keySet()) {
double failRate = (double) stagesM.get(key) / memberN;
rateOfFailM.put(key, failRate);
memberN -= stagesM.get(key);
}
// for (Map.Entry<Integer, Integer> entry : stagesM.entrySet()) {
// int stageKey = entry.getKey();
// int stageValue = entry.getValue();
// System.out.println("Stage " + stageKey + " => Count: " + stageValue);
// }
// for (Map.Entry<Integer, Double> entry : rateOfFailM.entrySet()) {
// int stageKey = entry.getKey();
// double failRate = entry.getValue();
// System.out.println("Stage " + stageKey + " => Fail Rate: " + failRate);
// }
return answer;
}
}
아직... 푸는중.....
지금 고민 중인 건
1. N번째 스테이지에 머물러있는 유저가 없고 N+1에 있을 경우
=> 위 문장 쓰면서 생각났는데 N번째 스테이지에 머물러있는 유저가 없으면 실패율이 없으니까 그냥 제일 마지막에 붙여주면 된다.
2. 근데 깨달으면서 두번째 고민을 까먹어버렸다. ;;;;;;;;;;;;;;;;;;;;;;
아마도.... 실패율이 같을 경우에 스테이지가 낮은 순으로 정렬하는 것일 듯.....
이어서 계속 작성하도록 하겠습니다.
(2024.04.19 17:58)
- 오늘 너무 힘들어서 내일 하려다가 문제 안 풀린게 찜찜해서 결국 노트북을 켰다 ;;;
import java.util.*;
class Solution {
public int[] solution(int N, int[] stages) {
int[] answer = new int[N];
Map<Integer, Integer> stagesM = new HashMap<>();
for (int i = 0; i < stages.length; i++) {
int key = stages[i];
stagesM.put(key, stagesM.getOrDefault(key, 0) + 1);
}
Map<Integer, Double> rateOfFailM = new HashMap<>();
int memberN = stages.length;
for (int key : stagesM.keySet()) {
double failRate = (double) stagesM.get(key) / memberN;
rateOfFailM.put(key, failRate);
memberN -= stagesM.get(key);
}
double[] fail = new double[N];
int index = 0;
for (int key : rateOfFailM.keySet()) {
fail[index] = rateOfFailM.get(key);
answer[index]=index+1;
index++;
}
double tmpf = 0;
int tmpa = 0;
for(int i = 0; i < N; i++){
for (int j = 1; j < N - i; j++) {
if(fail[j-1] < fail[j]){
tmpf = fail[j-1];
fail[j-1] = fail[j];
fail[j] = tmpf;
tmpa = answer[j-1];
answer[j-1] = answer[j];
answer[j] = tmpa;
}
}
}
return answer;
}
}
하............ 진짜 갈 때까지 가버린 나의 코드.................... 실환가
이정도로 더러운 코드는 또 처음이다
........ 문제점은 다음과 같다
스테이지에 머물러 있는 유저가 없는 경우 처리되는 로직이 없다............
근데 그 로직을 if문 써서 만들기에는 또 엄청난 경우의 수들이 생각나서.... 진짜 ...... 이건 아니다 싶었다...
다른 분의 힘들 받기로 했고
정말 간단한 코드를 보게 되었다....................... ㅠㅠ
<최종>
(출처 - https://hu-coding.tistory.com/109)
import java.util.*;
class Solution {
public int[] solution(int N, int[] stages) {
int[] answer = new int[N]; // 스테이지
double[] fail = new double[N]; // 실패율
int noclear[] = new int[N]; // 해당 스테이지(-1)를 클리어하지 못한 사용자 수
for(int s : stages){
if(s != N+1) noclear[s-1] += 1;
}
// 실패율 구하기
int player=stages.length;// 초기사용자 = stages.length
for(int i=0; i<N; i++){
fail[i]= (double)noclear[i]/player; // 실패율 저장
player -= noclear[i];
answer[i]=i+1;
}
double tmpf=0;
int tmpa =0;
// 실패율 정렬하면서 answer의 스테이지도 함께 순서바꿈
for(int i = 0; i < N; i++){
for (int j = 1; j < N - i; j++) {
if(fail[j-1]<fail[j]){ // 가장 작은 수(맨뒤)부터 정렬
tmpf=fail[j-1];
fail[j-1]=fail[j];
fail[j]=tmpf;
tmpa=answer[j-1];
answer[j-1]=answer[j];
answer[j]=tmpa;
}
}
}
return answer;
}
}
............ 내가 너무 어렵게 생각한 걸까??....
접근 방법은 비슷했으나 내가 hashmap을 사용하면서 더 복잡해진 것 같다.......
흑흑..........
오늘도 많이 고민하고 깨달은 날.....................이니까.........
그거에 위안을 얻으며.......
더 공부하자..........
팟팅!!!!!!
'[Java] 알고리즘 문제풀이' 카테고리의 다른 글
[Programmers / java] 숫자 짝꿍 (0) | 2024.04.19 |
---|---|
[Programmers / java] 예산 (0) | 2024.04.19 |
[Programmers / java] 문자열 나누기 (0) | 2024.04.17 |
[Programmers / java] 폰켓몬 (0) | 2024.04.17 |
[Programmers / java] 추억 점수 (0) | 2023.10.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