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프로세스
- 스프링부트
- 알고리즘
- 국비지원
- 코딩
- 국비지원코딩
- 자바스크립트
- 혼공컴운
- 코드업
- React
- 자바개발자
- 개발자
- 자바의정석
- SpringBoot
- 프로그래머스
- 미라클모닝
- 백엔드
- 자바
- 운영체제
- db
- 프로그래밍
- 데이터베이스
- Codeup
- Java
- 개발자일기
- 백엔드개발자
- 소셜로그인구현
- 자바알고리즘
- 리액트
- 프로그래머
- Today
- Total
목록SQL (3)
초코딩(chocoding)

DAO (Database Access Object) => 데이터베이스에 접근하는 객체 => 개발자가 select(), insert(), update(), delete()와 같은 연산(CRUD)들에 대한 인터페이스를 미리 정의해놓음으로써, 데이터에 대한 처리를 간단하게 할 수 있도록 도와줌 (SQL 구문 처) => DAO를 구현하지 않을 경우, 서비스(service)로직 부분과 DB에 접근하는 부분이 한개의 파일(servlet)에 작성하게 됨. : 이것은 객체지향 1원칙인 단일책임의 원칙을 위배하게 되므로 루틴을 분리하여 작성해야 함. : 하나의 클래스는 하나의 기능만을 제공하라는 의미 DTO (Data Transfer Object) => DB에 존재하는 테이블의 데이터를 저장하는 객체 => DB에 접근하..
데이터 중복을 제거하여 데이터 모델의 유연성을 향상시키는 것 => 정규화, 3층 스키마, 이상현상 제거 정규화란? => 데이터의 일관성, 최소한의 데이터 중복, 최대한의 데이터 유연성을 위한 방법이며, 데이터를 분해하는 과정 => 정규화는 데이터 중복을 제거하고 데이터 모델의 독립성을 확보하기 위한 방법 => 정규화는 테이블을 분해해서 데이터 중복을 제거하기 때문에 데이터 모델의 유연성을 높임 => 정규화를 수행하면 비즈니스에 변화가 발생하여도 데이터 모델의 변경을 최소화할 수 있음 => 제1정규화부터 제5정규화까지 있지만, 실질적으로 제3정규화까지만 수행 정규화 절차 제1정규화 => 속성의 원자성 확보, 기본키 설정 제2정규화 => 기본키가 2개 이상의 속성으로 이루어진 경우, 부분 함수 종속성을 제거..
데이터 모델링의 주요 특징 - 데이터 모델링은 추상화해야 한다. => 추상화 - 데이터 모델링은 단순화해야 한다. => 단순화 - 데이터 모델링은 명확해야 한다. => 명확성 데이터 모델링을 위한 ERD (entity relationship diagram) 1. 엔터티를 도출하고 그린다. 2. 엔터티를 배치한다. 3. 엔터티 간의 관계를 설정한다. 4. 관계명을 서술한다. 5. 관계 참여도를 표현한다. 6. 관계의 필수 여부를 표현한다. 데이터 모델의 3가지 관점 1. 데이터 2. 프로세스 3. 데이터와 프로세스 데이트 모델링 관계 - 개념적 모델링 - 논리적 모델링 - 물리적 모델링 3층 스키마 구조 - 외부 스키마 : 응용 프로그램이 접근하는 데이터베이스를 정의한다. : 사용자 관점, 업무상 관련이 ..